1인 가구 월 예산 짜는 법 + 무료 가계부 템플릿 제공
혼자 사는 1인 가구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지출 관리입니다. 고정 수입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고, 예상치 못한 지출이 생기면 월말에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죠. 이 글에서는 1인 가구 월 예산 짜는 법을 단계별로 소개하고, 실용적인 가계부 템플릿도 함께 제공합니다.
1. 수입과 지출 파악부터 시작
예산을 짜기 전 가장 먼저 할 일은 자신의 월 수입과 지출 구조를 파악하는 것입니다. 이때 지출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.
- 고정지출: 월세, 통신비, 보험료, 구독 서비스 등 매달 나가는 비용
- 변동지출: 식비, 교통비, 여가비, 쇼핑 등 유동적인 비용
Tip: 최근 3개월간 통장 거래내역을 정리해보면 정확한 기준을 잡을 수 있습니다.
2. 50:30:20 예산법 활용하기
50:30:20 Rule은 가장 널리 쓰이는 예산 분배법으로, 총수입을 다음과 같이 나눕니다.
- 50% – 필수 지출 (월세, 식비, 공과금)
- 30% – 선택 지출 (여가, 쇼핑, 외식 등)
- 20% – 저축 및 비상금
예시: 월 수입이 200만 원이라면
– 필수 지출: 100만 원
– 선택 지출: 60만 원
– 저축/비상금: 40만 원
3. 예산 항목별 월간 예시표
항목 | 예산 금액 | 비고 |
---|---|---|
월세 | 500,000원 | 고정지출 |
식비 | 250,000원 | 간편식 + 외식 포함 |
교통비 | 60,000원 | 대중교통 기준 |
저축 | 100,000원 | 적금 혹은 CMA |
비상금/기타 | 90,000원 | 예상치 못한 지출 대비 |
4. 모바일 가계부 앱 vs 수기 템플릿
가계부는 반드시 앱으로 써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. 자신에게 편한 방식이 가장 좋습니다.
- 앱 추천: 토스 가계부, 뱅크샐러드, 머니매니저
- 수기 가계부: 직접 쓰면서 소비습관 자각 가능
📎 무료 다운로드: 1인 가구 전용 가계부 템플릿 (엑셀)
5. 저축과 비상금은 반드시 분리
1인 가구는 예상치 못한 사건(병원비, 이사, 고장 수리 등)에 대비해 비상금을 반드시 따로 확보해야 합니다. 추천 비율은 최소 수입의 10%, 이상적인 수준은 3개월치 생활비입니다.
6. 실천 가능한 목표부터 시작
처음부터 완벽하게 예산을 지킬 필요는 없습니다. 중요한 것은 수입 내에서 소비를 통제하고, 저축을 습관화하는 것입니다. 목표는 작게, 실행은 꾸준히!
📌 마무리하며
예산 짜기와 가계부 쓰기는 돈을 아끼는 도구가 아니라, 돈을 통제하는 수단입니다. 1인 가구라면 더더욱 자산의 흐름을 눈으로 확인하고 계획적으로 살아야 하죠. 오늘 소개한 50:30:20 예산법과 가계부 템플릿을 활용해, 나만의 재무 루틴을 만들어보세요.